여행

[스크랩] 박정희 전대통령 생가, 육영수 생가

湖月, 2013. 3. 22. 17:17

 

박정희 전대통령 생가

1993년 2월 25일 경상북도기념물 제86호로 지정되었다. 또한, 이 일대 대지 228평이 문화재보호구역으로 고시되었다.

박정희()는 경상북도 구미시 상모동에 있는 이 집에서 1917년에 태어나 1937년 대구사범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20년을 살았다.

박정희의 본관은 고령()이지만, 선조 때 고령에서 성주()로 옮겼다가, 1914년에 현 위치인 상모동으로 이사하였다.

이 집은 1900년경에 지은 15평 규모의 초가집으로, 전형적인 농촌 가옥이다.

1964년 구미시가 안채 및 사랑채를 단장하여 현재의 모습으로 꾸몄다. 생가 안에는 1979년에 설치한 분향소가 있다.

 

 

 

 

 

 

 

 

 

 

 

 

 

 

 

 

 

 

충청북도 옥천군 육영수 생가

충청북도 기념물 제123호(2002년 04월 26일)

충북 옥천군 옥천읍 향수길 119(교동 313) 

박정희 전대통령의 영부인 육영수 여사가 1925년 11월 29일에 태어난 장소이다.
현재 건물은 없지만 1600년대 김정승 이후 송정승 및 민정승이 거주하여 삼정승의 집이라 불리던 가옥을 육영수 여사의 부친인 육종관씨가 민정승의 자손 민대감에게서 1920년 매입하였다고 한다.
6,047㎡의 대지 위에 1970년 초에 개축된 관리사·사당 등만 남아 있으며, 주변은 울창한 산림이 형성되어 있고 본채·사랑채·별당 등 10여동의 건물이 있었다고 하나 현재 터만 남아 있으며 주변은 연못과 정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건물의 배치는 대문을 들어서면 넓직한 사랑채 터가 있고 그 뒤에 안채 터가 있으며, 청기와 지붕의 사당과 별당 터가 있다.

그리고 주위에는 관리인과 고용인들이 기거하던 부속건물이 있으며 사랑채 터 동쪽에는 연못이 있다. 육영수 여사는 옥천지방의 독농가(篤農家) 육종관의 2녀로 출생하였으며, 이름있는 문벌이었고 우리나라 전통적인 부덕(婦德)을 갖춘 현대여성이었다. 특히 불우한 사람을 위해서 봉사와 희생으로 일관된 생활을 하였다.

그러나 1974년 8월 15일 장충동 국립극장에서 열린 제29회 광복절 기념식장에서 조총련계 문세광이 쏜 총탄에 맞아 사망하여 8월 19일 국민장으로 동작동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1600년대 김정승 이후 정승들이 살던 곳으로 조선시대 상류계급의 전형적인 양식의 건축구조를 갖추고 있었던 곳이며, 육영수 여사가 태어난 곳으로 가치있는 자료이다.  

 

 

 

 

 

 

 

 

 

 

 

 

날씨도 우중충 비가 오락가락

삼정승이 태어나고 국모가 태어난 명당자리라는데

옛 건물이 아니고 모두 새로 복원해서 향수 같은 아련함은 없고

아~ 그랬구나! 그랬었지 하고 새삼 옛일을 회상 할수는 있었다.

정지용 문학관에서 10분 거리

 

출처 : 문학 한 자밤
글쓴이 : 湖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