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쓰기를 위해서
시 쓰기를 위해서
1, 독서를 생활화 한다
구체적인 언어와 표현을 찾기 위해 좋은 시를 많이 읽는다.
시 뿐 만아니라 수필 소설 신문 등 독서를 생활화 한다
2, 시를 쓰기위해서 우선 어떤 글감이 있어야한다
모든 생활에서 시가 되겠다 싶으면 메모하는 습관을 가진다.
시의 종자를 메모해 두었다. 계기가 되면 시로 다듬는다.
3, 이미지화 한다
시를 쓸 때 운율을 중히 여기며 말하지 않고 말하는 법으로
읽는 이가 그림을 그리게 한다
4, 은유(수사법 가운데 비유법의 하나.)
로 다 보여주지 않고 읽는 사람으로 깨달을 수 있게 하여 감동을 준다.
죽은 은유는 신선함이 없다
은유(metaphor): 사물과 사물이 지닌 속성의 유사성을 연결하여 나타내는 비유. A의 B -> 내 마음의 호수 (동격은유) A는 B다 -> 내 마음은 호수다 (계사은유)
메타포어 ㅡ정보의 전달을 빠르게 하기 위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나 개념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는 기법 메타포어는 은유라는 뜻으로 사용자의 적절한 연상 작용을 유도하여 어떤 개념이나 정보를 쉽고 빠르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메타포어는 사용자의 적절한 연상 작용을 유도하기 위하여 일관성이 있어야한다.
5, 관념어 타파
손으로 만질 수 없고 눈으로 볼 수 없는 관념어를 자제해야한다
(예- 평화, 사랑, 그리움, 삶, 미움, 위선, 자선, 등)
1.은유법
(a) 원관념, 보조 관념을 직접 연결시키는 방법, 흔히 ‘A'는 ’B' 형식이다
(b) 본뜻은 숨기고 비유하는 형상만 드러내어, 표현하려는 대상을 설명하거나 그 특질을 묘사하는 방법이다. 암유법(暗喩法)이라고도 한다. 직유법보다 밀찰도가 강한 비유로 비유의 말은 줄임 으로써, 더욱 압축∙간절의 효과가 크게 느껴진다
2. 직유법 (a) 원관념과 보조 관념을 ‘마치, 처럼, 듯이, 인 양, 같이’ 등을 사용하여 연결함. |
작가의 정서적인 태도를 감각적이고 복합적으로 드러내는 미적 효과를 직유 를 이용해 발휘함.
(b) 직유는 가장 일반적인 비유 형태로, 직접적으로 내용을 제시할 수 있다. 명유법(明喩法)이라고도 한다.
3.과장법 실제보다 크거나 작게, 많거나 적게, 멀거나 가깝게, 깊거나 얕게 표현하는 방법
(천길 만길 낭떠러지’라는 문장 - ‘낭떠러지’의 깊이를 강조하기 위해 과장)
4.도치법 - 정상적인 언어 배열 순서를 바꾸어 놓음으로써 강한 인상을 주 려는 표현 기법
(수사법의 변화) 화자가 강조하려 할 때 주로 쓴다.
5.역설법 - 표면적으로는 모순되는 내용을 통해 독자에게 충격과 흥미를 주 면서 내면적으로 새로운 진실을 표현하는 방법.
1님은 갔지마는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한용운_ 님의 침묵
2 이것은 소리없는 아우성.-유치환 _
3 찬란한 슬픔의 봄을 -김영랑 _ 모란이 피기 까지는
4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이육사 _ 절정
5 길이 끝나는 곳'에 '길이 있다.- 정호승_봄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