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 100년 기념 탑
푸슈킨 기념 문학상 (수상 소감)
안행덕
어릴 때는 꿈을 먹고 자라고 늙어서는 추억을 먹고산다는 말이
있다. 그러나 그건 옛말이다 세월이 달라진 것이다
나이가 들어도 꿈을 키우고 보람을 찾으며
허전하게 비어가던 가슴에 아름다움으로 채색되어 감을
느끼며 무엇을 버리고 무엇을 채워야 할지를 조금씩 배워 가는데
마음속에 香氣로운 꽃처럼 피어나는 시심을 살아있는 활자를 만들어
누군가에게 꿈과 희망을 준다면 더없이 행복한 일이다
며칠 사이 계절이 바뀌었다
더위에 지쳐갈 지음 선들바람 불어 주듯이
지루한 일상이 이어지고 회의적인 날 푸슈킨 기념문학상 우수상 통지서는
더위를 식혀주는 선들바람처럼 신선했다
생각지 못한 큰상에 선 해주신 심사위원님께 감사드립니다.
뽑고 나서
심사고문 황금찬, 김남조, 구인환, 이근배
푸슈킨! 그가 탄생한지 209주년이 흘렀다 러시아의 정신, 퓨슈킨을
숭모함은 그의 문학정신이 세계인의 마음속에 양식이 되기 때문이다.
이번에<문예춘추>가 시행하는 퓨슈킨 문학상에서의 수상자 배경은
두말할 것 없이 존경의 뒷받침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존귀함 때문이리라.
많은 수상 신청자 가운데 우수성, 가치성, 문학적 표현성, 작품 연조의 노련 성
등등을 참작하였다.103통의 작품 중에서 고르고 고른 작품 들이다.
뽑힌 분들께는 영광일 테지만 뽑히지 않은 분들께는 미안하고 안타까운 일이다.
심사 팀으로서 깊은 사의를 표한다. 대상을 받으신 분들 일곱 분들의 경륜은
장르별로 대단하고 그 작품성도 우수하다. 최종규, 김원중, 이용우, 이창규, 김정인, 정대연, 최중호, 이분들의 문학적 중후함을 엿볼 수 있다.
최우수상의 기준은 작품성의 기준으로 볼 때 상당한 달관의 경지에 이른 분들이다.
열 세분 모두가 문학 열정적인 것을 엿볼 수 있었다.
조인산, 강봉희, 최장길, 김석현, 전인숙, 이용호, 노태운, 이강흥, 박병희, 최윤표,
형경숙, 정정근, 윤옥희 배병수, 대상에 버금가는 문학적 진지성을 지니고 있었으나
간만의 차를 두고 심사팀에서 상당한 의견조율로 이루어졌다.
우수작에서도 마치 한가지이다. 세분 모두 창작 정신을 갖고 있다는 판단이다. 안행덕,
이종영 박유동 이세분 들의 작품성도 최우수에 맞설 작품이었으나 단지 문학성만 보는것이 아니었고 문학의 본질 압축과정에서 분류된 것이다. 그러니 대상이나 최우수상이나 우수상이나. 각기 장르적 구별과 작품성의 경향에 따른 것뿐이지 다른 의미는 없는 것임을 양지하시기 바란다. 그러나 많은 신청자 속에서 유독 뽑힌 이 영광을 축하드린다. 퓨슈킨 이란 이상의 이미만을 봐서도 큰 영광이 아닐 수 없는 일이다.
건강하시고 좋은 작품 많이 생산해 주시기를 바란다.
항해 / 안행덕
검은 고무 튜브에 하반신을 감추고
납작 업들인 채 헤엄을 치는 사내
하반신의 폐허에
도마뱀 꼬리처럼 돋아난
고무 지느러미를 흔들며
시장통을 유영한다.
오물이 질펀한 바닥에
쉼표를 찍고 행간을 치는 사이
퍼렇게 날이 선 시선들이
두려움에 떠는 작은 심장을
인정없이 냉각시킨다.
파도처럼 밀려왔다 밀려가는 인파
뱃고동처럼, 발걸음 소리만 울릴 뿐
등대 같은 적선의 빛은 없어라
진종일 사나운 파도에 지친 시린 눈빛
안쓰럽게 지켜보던 좌판의 노파
끌끌 혀를 차며 지폐 한 장 던진다.
좌초될 듯 흔들리던 고무 지느러미
그제야 두려움 없이 인파를 헤치며
거친 바다를 건넌다.
계간 문예춘추 2008년 가을호 |
'나의 문학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예작품 공모 당선작 작품집 / 안행덕 (0) | 2013.01.25 |
---|---|
[스크랩] 송도해수욕장 개장 100주년 문예작품 공모 시상식/ 안행덕 (0) | 2012.12.11 |
[스크랩] 제7회 부산국제茶어울림문화제 공모 당선작/ 안행덕 (0) | 2012.09.02 |
생활수기 공모 당선 (0) | 2010.11.28 |
[스크랩] 항해 ㅡ 안행덕 (0) | 2009.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