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 틀리는 맞춤법 왼쪽틀림/오른쪽맞음(교정을 진행하면서 발견한 것들을 누가 기록합니다) ---------------------- ◇홍역을 치루다/홍역을 치르다 ◇발자욱/발자국 ◇눈물자욱/눈물자국 ◇찿기/찾기 ◇바람이 들어와서 부는대로/ 바람이 들어와서 부는 대로 ◇화려함은 가슴으로 감추인 채 / 화려함은 가슴으로 감춘 채 ◇.. 개미와 베짱이 2009.06.30
시 창작이란 무엇인가 ㅡ 김기택 -펌- 시 창작이란 무엇인가 김기택 (시인) 시는 일상적인 언어의 말하기와는 달리 ‘창작’이라고 말한다. 창작이란 이전에는 없던 것을 새로 만든다는 의미이다. 왜 일상적인 언어는 창작이라고 하지 않으면서 시는 창작이라고 하는가. 시를 쓰면 이전에 없던 무엇이 새로 있게 되는 것인가? 즉 무의 .. 개미와 베짱이 2009.05.08
시와 연애하는 법 ㅡ 안도현 누에도 뽕잎 먹으면 비단실을 토하거늘 안도현의 시와 연애하는 법 16. 창조를 위해 모방하는 법부터 익혀라 ‘본뜨다’라는 말이 있다. 무엇을 본보기로 삼아 그와 같게 하거나 흉내 내어 그대로 따라 한다는 뜻이다. 미술시간이나 무슨 공작물을 만들 때 곧잘 쓰는 말이다. 떠야 할 본(本)을 문자나 .. 개미와 베짱이 2008.09.15
좋은 시의 조건 ㅡ 10가지 좋은 시의 조건-10가지> -박남희 1. 함축성이 있고 입체적인 시를 써라 시와 산문이 다른 점은 시가 지니고 있는 함축성 때문이다. 시는 평면적인 글을 의미전환 시키거나 이미지화해서 그 속에 새로운 의미를 갖게 해준다. 시에서 다양한 수사법(은유, 상징, 역설, 알레고리, 아이러니 등)을 사용하는 .. 개미와 베짱이 2008.05.28
문단 진출의길 문단 진출의 길-국내외 작가 등단제도 비교분석 ...아래 글은 월간 < 문학사상 > 12월호 특집으로 실린 ‘문단 진출의 길, 집중 분석’ 제하의 글 중 일부 내용입니다. 문학 지망생들께서 궁금하실 만한 정보라 생각하여 싣습니다. 흔쾌히 전제를 허락해주신 문학사상사측에 감사드립니다. (한가지 .. 개미와 베짱이 2008.04.22
재미있고 유익한 순 우리말 재미있고 유익한 순우리말 ㄱ ●가납사니 : ①쓸데없는 말을 잘하는 사람. ②말다툼을 잘하는 사람. ●가년스럽다 : 몹시 궁상스러워 보이다. cf)가린스럽다 : 몹시 인색하다. ●가늠 : ①목표나 기준에 맞고 안 맞음을 헤아리는 기준. ②일이 되어 가는 형편. ●가루다 : 자리를 나란히 함께 하다. 맞서 .. 개미와 베짱이 2008.01.29
좋은 시의 조건 ㅡ 강은교 좋은 시의 조건 강은교 첫째, 장식없는 시를 써라 설명하지 않아도 되는 것, 시적 공간만으로 전해지는 것 그것이 시의 매력이다. 시를 쓸 때는 기성시인의 풍을 따르지말고 남이 하지 않는 애기를 하라. 주위의 모든 것은 소재가 될 수 있으며 시의 재료가 되는 느낌들을 많이 가지고 있게 되면 시를 쓰.. 개미와 베짱이 2007.12.17
[스크랩] 시 창작을 어떻게 할 것인가 시 창작을 어떻게 할 것인가 1999. 6. 처음 지음, 2006. 8. 수정 김 윤 호 (金允鎬) 1. 詩란 무엇인가 (1) 시란 일상의 언어로 인식될 수 없는 것을 보다 완전한 언어로 인식하고자 하는 행위 (2) 시란 상상력의 힘을 빌려 은유, 상징, 신화, 이미저리로 표현하는 언어 (3) 시란 세계가 지닌 의미를 탐험하여 우리.. 개미와 베짱이 2007.09.05
틀리기쉬운 우리말 틀리기 쉬은 맞춤법 7가지 인터넷을 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맞춤법을 바르게 사용하지 않고 있는 것을 보게 됩니다. 아래에 틀리기 쉬운 우리말 맞춤법 6가지를 열거 해 보았습니다. 참조 바랍니다. 1. 요/오 “꼭 답장 주십시요.”, “수고하십시요” 이런 말들은 모두 마지막의 “요”를 “오”로 바꿔.. 개미와 베짱이 2007.08.22
이달의 작가 문예지 월간 모던포엠 2007년2월호 이달의 작가로선정되었다 재가 되기 전에 湖月 안행덕 매캐한 연기는 몸통 속의 절망을 알리는 신호인가. 활활 타는 불꽃에 던져진 생나무 한 토막 뜨거운 열기에 몸속의 수분을 모두 내 품어 보지만 몇 분도 채 견디지 못하고 불이 붙는다 잎새 들의 함성처럼 튀는 .. 개미와 베짱이 2007.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