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작법10창작의실제(심상의형상화) ● 心象의 형상화 이미지(image)는 중요한 시의 요소이다. 시를 시답게 할 뿐 아니라 시의 양감(量感)을 풍부하게 해주는 요소가 바로 이미지의 전개이다. 앞에서 우리는 "느낌"과 "표현"의 문제를 알아보았고, "말투"와 "어조"를 통한 "가락"과 그 "짜임새"가 어떤 것인가를 검토해 보았다. 그리하여, 시조.. 시창작법 2005.12.24
시조작법9창작의실제(시어의선탣.표현) ● 시어의 선택과 표현 시조가 잘 써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그 까닭을 요약하면 대충 다음과 같은 경우가 될 것이다. ① 표현하고자 하는 사물(시적 대상)에 관한 관찰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글쓰기를 시작한 경우 (시적 대상에 대한 사전 취재→구상→얼개 짜기가 미흡한 경우).. 시창작법 2005.12.24
시조작법8창작의실제(어조) ● 시조와 語調 천년 맺힌 시름을 출렁이는 물살도 없이 고은 강물이 흐르듯 학이 나른다 천년을 보던 눈이 천년을 파닥거리던 날개가 또 한번 천애에 맞부딪노다 산덩어리 같아야 할 분노가 초목도 울려야 할 서름이 저리도 조용히 흐르는구나 여기 소개하는 작품은 우리 나라의 시성(詩聖), 혹은 시.. 시창작법 2005.12.24
시조 작법6창작의 실제(느낌과 표현) 시조 창작의 실제 ● 느낌과 표현 발라낸 생선의 뼈를 보면서 푸른 잎 가지런한 장미꽃을 떠올린다 잎새들의 푸른 대칭을 보면서 사하라 한 길에서 뒹굴던 짐승의 갈비뼈를 발견한다 하얗게 삭아가는 갈비뼈를 보면서 겨울숲의 백양나무를 그린다 백양나무 가지를 보면서, 가난한 아버지의 팔뚝에 선.. 시창작법 2005.12.24
시조작법5창작의실제( 연시조} 창작의 실제 / ① ● 연시조 짓기 낙동강 빈 나루에 달빛이 푸릅니다 무엔지 그리운 밤 지향없이 가고파서 흐르는 금빛 노을에 배를 맡겨 봅니다. 낯익은 풍경이되 달 아래 고쳐보니 돌아올 기약 없는 먼길이나 떠나온 듯 뒤지는 들과 산들이 돌아 돌아 뵙니다. 아득히 그림 속에 정화(淨化)된 초가집들 .. 시창작법 2005.12.23
시조작법4 양장시조 .옴니버스시조.동시조 라. 양장시조의 형태 시조의 형식 가운데 개화기에 이르러 출현한 시형으로서 초·중장 가운데 한 장이 생략된 형식이다. 양장시조, 혹은 2장시조라고도 하는 이 시형은 말 그대로 두 장으로 이루어진 형태의 시조를 말한다. 우리 시가문학은 개화기에 이르러 많은 변형이 나타났으며 양장시조도 단시.. 시창작법 2005.12.23
시조 작법 3엇시조와 사설 시조 . 엇시조의 형태 초·중·종장 가운데 어느 한 장이 6∼7 음보로 이루어진 시형이다. 엇시조의 「엇」이란 한자의 「於」에 이두(吏讀) 「叱(ㅅ) 엇 」을 붙여 만든 이두식 조어(造語)이다. 「엇」은 접두사로서 평시조와 엇비슷한, 또는 평시조에서 어긋난 형식을 가리키는 말이라고 할 수 있다. 엇시.. 시창작법 2005.12.23
시조 작법 ㅡ 2 시조의 형태 시조의 형태 시조의 형태(혹은 형식)는 단형시조(평시조), 중형시조(엇시조), 장형시조(사설시조), 양장시조(2장시조), 옴니버스시조(시조의 각종 형식을 아우른 混作 연형시조), 동시조(童時調) 등 여섯 종류가 있다. 또한 시조의 내용면에서는 서정시조, 서사시조, 교훈시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가... 시창작법 2005.12.23
시조 작법 ㅡ 윤금조 아래 글의 출처는 새문社에서 출간한 윤금초 선생님의 [현대시조쓰기]입니다. 차 례 책 머리에 / 시조에 관한 프로포 제1부 시조의 형태 가. 평시조의 형태 <표 / 평시조의 형식> 나. 엇시조의 형태 다. 사설시조의 형태 라. 양장시조의 형태 마. 옴니버스시조의 형태 바. 동시조의 형태 시조창작의 실.. 시창작법 2005.12.23
시조 작법 ㅡ 윤금조 아래 글의 출처는 새문社에서 출간한 윤금초 선생님의 [현대시조쓰기]입니다. 차 례 책 머리에 / 시조에 관한 프로포 제1부 시조의 형태 가. 평시조의 형태 <표 / 평시조의 형식> 나. 엇시조의 형태 다. 사설시조의 형태 라. 양장시조의 형태 마. 옴니버스시조의 형태 바. 동시조의 형태 시조창작의 실.. 시창작법 2005.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