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처구니
마경덕
나무와 돌이 한 몸이 되는 것은
어처구니없는 일,
근본이 다르고
핏줄도 다른데 눈 맞추고
살을 섞는다는 것
아무래도 어처구니없는 일
한곳에 붙어살며 귀가 트였는지,
벽창호 같은 맷돌
어처구니 따라
동그라미를 그리며 순하게 돌아간다
한 줌 저 나무
고집 센 맷돌을 한 손으로 부리다니
참 어처구니없는 일
감상평
근본은 목석(木石)이라도 한 몸이 되어 돌아간다. 시어미와 며느리, 성도 다르고 친정도 다르지만 어처구니 맞잡고 빙글빙글 한 집안을 돌린다. 콩가루가 쏟아진다. 불린 두부콩이 흘러넘친다. 지역도 다르고, 학벌도 다르고, 핏줄도 다른 백 가지 성씨 지닌 사람들 오천 년 손때 묻은 어처구니 맞잡고 한 나라를 돌린다. 빙글빙글 순하게 돌며 고소한 깨 내음 구수한 잣 내음 풍긴다. 누가 어처구니를 빼어 사사로이 아궁이 불쏘시개로 쓰는가?
<시인 반칠환>
'詩의香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등심 (0) | 2017.02.09 |
---|---|
[스크랩] 폭설 / 오탁번 (0) | 2017.02.05 |
풀밭 / 곽재구 (0) | 2017.01.14 |
오갈들다 / 이인주 (0) | 2017.01.12 |
노량진 고등어 / 노수옥 (0) | 2016.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