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문화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작
발코니의 시간
박은영
필리핀의 한 마을에선
암벽에 철심을 박아 관을 올려놓는 장례법이 있다
고인은
두 다리를 뻗고 허공의 난간에 몸을 맡긴다
이까짓 두려움쯤이야
살아있을 당시 이미 겪어낸 일이므로
무서워 떠는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암벽을 오르던 바람이 관 뚜껑을 발로 차거나
철심을 휘어도
하얀 치아를 드러내며 그저 웃는다
평온한 경직,
아버지는 정년퇴직 후 발코니에서 화초를 키웠다
생은 난간에 기대어 서는 일
허공과 공허 사이
무수한 추락 앞에 내성이 생기는 일이라고
당신은 통유리 너머에서 그저 웃는다
암벽 같은 등으로 봄이 아슬아슬 이울고 있을 때
붉은 시클라멘이 피었다
막다른 향기가
서녘의 난간을 오래 붙잡고 서있었다
발아래 아득한 소실점
더 이상 천적으로부터 훼손당하는 일은 없겠다
하얀 유골 한 구가 바람의 멍든 발을 매만져준다
해 저무는 발코니,
세상이 한눈에 보인다
'신춘문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륵을 묻다 / 김형수 (0) | 2018.01.01 |
---|---|
복도 / 변선우 (0) | 2018.01.01 |
2018 세계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작 / 돋보기의 공식 / 우남정 (0) | 2018.01.01 |
흑임자 / 이윤숙 (0) | 2017.12.21 |
2015문화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작 / 어머니의 계절 / 최영랑 (0) | 2015.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