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스크랩] 문학 기행

湖月, 2015. 5. 19. 13:46

 

새 부산 시인협회 봄 문학기행

 

 

아침 7시 30분 서면 영광도서 앞에서 모인 협회 회원들 모두

오늘 하루를 즐길 준비가 된 듯 간편 복장으로 서로 반가운 인사로

분주하고 운영진은 회원들 챙기기에 분주하다.

 

버스는 출발하고 얼마 가지 않아 시원한 5월의 향기 실은 바람이

차창을 스친다. 연둣빛과 진초록의 물결 사이로 잔잔한 동해가

보이고 서사시를 쓰고 있는 풍경과는 다르게 버스 안은 소란스럽다.

모처럼의 여행에 졸지 말라고 입담 좋은 차달숙 사무국장님 오늘 하루

우리가 보고 배우고 느껴야 할 장소와 인물 그리고 일정표와 단체생활에서

지켜야 할 매너에 대한 이야기 사이사이 우스갯소리로 박수를 유도하는

센스는 모두를 즐겁게 한다.

난센스 퀴즈로 시작해 해박한 상식 퀴즈까지 밤새도록 준비하고 상금으로

일 달러지폐 까지 준비했다는데 힘든 내색 없이 회원들을 위해 봉사를 하는

모습 박수를 보내지 않을 수 없다.

 

퀴즈게임과 시낭송을 하는 동안 영덕 강구에 도착하고 영덕 풍력 발전소에 왔지만

발전소는 들리지 않고 해맞이 공원에서 멀리 시원하게 돌아가는 풍차와 시비 공원

영덕 해맞이 예술관 초대전 등을 관람하고 신돌석 장군 유적지를 찾았다.

 

평산 신씨가 본관이며 돌석은 이명이고 본명은 태호라고 전한다

의병장 신돌석 장군은 이곳 영해에서 1878년 태어났다.

신돌석 장군 유적지에는 신돌석 장군의 위패를 모신 사당 '충의사'와 기념관이 자리하고

있다. 을미사변 때 전국에서 의병이 봉기하게 되는데

신돌석 또한 영해에서 열아홉의 어린 나이로 의병 봉기에 참여하였다 한다.

을사늑약에 항거하여 영해 일대에서 의병을 조직했던 신돌석은

평민 가운데에서는 최초로 의병장에 올랐던 인물로 기억되고 있다

양반들이 사회의 지도층이었던 사고방식 속에서 신돌석은 매우 그 능력이 특출했고

탁월한 식견과 전쟁 수행능력을 지녔던 그는 양반들을 휘하에 두고 의병을

진두지휘했던 인물이었다.

죽기 전까지 크고 작은 여러 전투에서 단 한 차례도 패배하지 않았던 신출귀몰했던 전투

수행능력으로 인해 일본군들에게는 공포의 대상이 되었으며 태백산 호랑이라는 별명을

들었다 한다. 그렇게 일본인에게 공포를 심어주었던 의병장 신돌석은 

일본인의 회유에 넘어간 김상렬이라는 자에 의해 결국 배신당하고 암살당하여 죽게 된다

1908년 그의 나이 30살이었다. 오늘 문학기행 첫 번째 행선지 영덕 강구

신돌석 장군이라는 호국영령에 대해 알아가게 해주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1963년에는 대한민국 건국공로 훈장 복장이 추서되었다고 한다.

 

축산항 입구에 죽도대게타운에서 회덮밥으로 점심을 먹고 괴시槐市리 마을로 이동

영남에서는 보기 드문 오래된 가옥과 고택으로 지정된 6점의 고택이

문화재 관리가 되는 마을이다. 전통 가옥을 둘러보고 목은 이색 기념관을 방문

고려 말기의 문신 학자로 호는 목은牧隱 시호는 문정文靖 고려 삼은三隱 중 한사람이다.

시인이자 대 문호였던 인물로 고려 말기의 학문과 정치에 큰 업적을 남긴 사람이다.

괴시리는 목은 이색(1328~1396)의 고향이다.

넓은 정원과 정각 한시와 시비로 마음 빼앗긴 우리는 바쁜 일정이 아니라면 유유자적

시를 벗하고 대선배 호연지기를 음미하고 싶은 아쉬운 심정을 내려놓고 길을 재촉해

나 옹 왕사 반송정 유적지로 향했다.

가사 문학의 창시자 나 옹 왕사의 흔적이 있는 장육사의 관음전에 있는

건칠관음보살좌상은 보물 993호라 한다.

 

돌아오는 길에는 광장에서 수박과 막걸리 통기타와 노래로 여흥을 즐기고

버스에서는 노래자랑과 클래식 감상 등 즐겁고 유익한 하루를 보내게 애써 주신 회장님과

운영진에게 감사의 박수를 보냅니다.

 

                                                    2015년 5월16일 湖月 安幸德

 

 

 

영덕 풍력발전소 풍차

신돌석 장군 기념관

신돌석 장군 생가

신돌석장군 생가 유적지

신돌석 장군 시비

목은 기념관 입구

괴시리 고가

전통가옥 괴시리

목은 기념관

목은 이색 영정

장육사

장육사 전경

보물993호(장육사 관음전)

 

 

 

 

출처 : 문학 한 자밤
글쓴이 : 湖月 원글보기
메모 :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시인협회 봄 문학기행  (0) 2016.05.04
[스크랩] 고창 고인돌  (0) 2015.11.09
창녕 우포 늪  (0) 2015.04.27
창녕 우포 늪(생태관)   (0) 2015.04.27
곽재우 생가. 안희재 생가  (0) 2015.04.27